
보안 사고 대응, ‘빠른 처방’이 아닌 ‘숙련도’가 답이다 보안 사고가 발생하면 늘 같은 말이 반복됩니다. “지금 급합니다.” 하지만 ‘급함’은 보안의 해법이 아닙니다. 급하게 진행되는 대응은 종종 땜질식 조치로 끝나며, 오히려 더 큰 위험을 불러옵니다. 진짜 문제는 ‘보안 의식’의 부재 보안 사고 대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술보다 조직 구성원 모두의 보안 의식(Security Mindset) 입니다. 업무 과정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작은 편의주의가 큰 사고의 원인이 되곤 합니다. 테스트 서버에서 “일단 되게 하자”는 이유로 SELinux나 방화벽을 꺼둔 채 테스트를 진행하거나, 임시로 root 권한을 공유하는 일은 흔합니다. “테스트니까 괜찮겠지”라는 작은 예외가 운영 환경의 취약점으로 이어지는 경..
기업의 최고경영진(C레벨)들은 많은 이들이 부러워하는 자리까지 올라온 사람들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들 중 일부는 종종 사이비 종교나 검증되지 않은 확신 체계에 쉽게 끌려들어간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가 있다. 단순히 개인의 어리석음 때문일까? 사실 그 이면에는 리더십의 구조적 한계와 인간적 심리가 자리한다. 실력과 운의 경계 많은 리더는 자신의 성공을 실력의 결과라 믿는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실력보다 환경과 운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 순간, 자기 확신은 흔들리기 시작한다. 자기 이미지와 현실의 괴리 오랫동안 “나는 잘난 리더”라는 이미지를 유지하며 살아왔지만, 조직이 커질수록 한계와 부족함이 명확히 드러난다. 이 괴리를 받아들이기보다는, 절대적이고 단순한 해답을 제시하는..
리눅스 백신 시대가 오고 있다. 1. 리눅스 악성 코드의 증가와 다양화 과거에는 리눅스가 윈도우에 비해 악성코드의 위협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다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윈도우보다 사용자가 적고, 오픈소스 기반의 투명성, 그리고 강력한 권한 관리 체계(루트 권한) 덕분이었죠. 하지만 이러한 인식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서버 시장의 지배력: 현재 전 세계 웹 서버의 60% 이상이 리눅스 운영 체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AI 등 최신 기술의 기반 플랫폼으로 리눅스가 광범위하게 채택되면서, 공격자들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습니다.랜섬웨어 공격 증가: 특히 리눅스 서버를 노리는 랜섬웨어 공격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2년 상반기에만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했을 정도로 심각한..
우리는 디지털 세상 속에서 '해커'라는 단어를 너무나 자주 듣습니다. 하지만 이 단어가 종종 잘못 사용되거나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사실,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정보를 훔치는 악의적인 행위자들은 '크래커'이며, '해커'는 본래 매우 긍정적이고 탐구적인 의미를 지닌 용어입니다. 이제부터라도 이 두 용어를 정확히 구분하여 사용하고, 디지털 보안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한 단계 높여보는 것은 어떨까요?탐구와 창조의 열정, '해커''해커'는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탐구하고 창조하며,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열정을 가진 기술 전문가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단순히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넘어,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파헤치..
오래전부터 우리는 보안을 ‘설치하는 것’으로 생각해왔다. 인터넷 뱅킹을 하기 위해선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을 깔아야 하고, 공공기관 사이트에 들어가려면 방화벽 모듈, 캡처 방지 프로그램까지 포함된 패키지를 설치해야 했다. 많은 기업과 기관은 이 과정을 ‘기본 보안’이라 여겼고, 사용자는 귀찮아도 당연하다는 듯 받아들였다.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 보안 제품을 모두 설치했는데도 피싱에 당하고, 백신을 깔았는데도 랜섬웨어가 감염된다. 설치만으로 안심하던 시대는 이미 끝났다. ❝ 얼마 전, 한 공공기관에서 ‘보안 프로그램 미설치로 인해 데이터 유출이 발생했다’는 이슈가 있었다. 하지만 조사 결과, 모든 보안 솔루션이 설치되어 있었고 최신 버전이었다. 문제는, 사용자가 받은 이메일 속 링크를 그대로 클릭한 것이었다..
제품을 만들다 보면 늘 예기치 않은 문제가 생긴다. 일정 지연, 품질 이슈, 고객 불만, 운영 상의 장애까지—이 모든 혼란의 중심에는 '이슈'가 있다. 하지만 이슈를 단순히 '문제'라고만 본다면, 조직은 반복적인 실수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슈는 단지 품질 결함이 아니라, 조직 전체의 커뮤니케이션과 운영 흐름을 비추는 거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슈를 단순 관리 대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조직의 판단과 조율이 시작되는 컨트롤 타워의 중심축으로 전환해야 한다. 그리고 그 중심에 QA(Quality Assurance) 조직이 서야 한다. 기존의 QA는 ‘테스트 조직’이라는 한정된 역할로 치부되곤 했다. 개발이 끝난 뒤 오류를 찾아내는 사람들, 출시 직전 품질을 검증하는 마지막 보루—이런 고정관념은 Q..
- Total
- Today
- Yesterday
- C# 고급 기술
- C
- DLL
- 제주도
- ip
- 윈도우
- Thread
- C#
- Build
- 패턴
- 다이빙
- OpenSource
- C++
- 성산블루버블
- 블루버블다이빙팀
- 디자인패턴
- 서귀포블루버블
- 리눅스
- 스쿠버다이빙
- 블루버블
- Windows
- 암호화
- PowerShell
- 서귀포
- 울릉도
- ReFS
- Linux
- 현포다이브
- 양파다이브
- 블루버블다이브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