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xmox에서 VM 하드 디스크가 사라졌을 때 복구하는 방법Proxmox에서 VM에 연결된 하드 디스크를 제거했는데, 'Unused Disk' 목록에 나타나지 않아 당황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는 디스크 정보가 Proxmox 구성에서 완전히 삭제되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디스크 데이터는 여전히 서버에 남아 있으므로, 간단한 명령어로 다시 찾아 연결할 수 있습니다.문제 상황VM에서 하드 디스크를 제거했는데, Proxmox 웹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Hardware) 탭에서 'Unused Disk'로 보이지 않고 목록에서 완전히 사라졌습니다.해결 방법: qm rescan 명령어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Proxmox의 셸(Shell)에서 qm rescan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입니..
쿠버네티스 대시보드 외부 접속 설정1. NodePort 서비스로 변경쿠버네티스 대시보드를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Service Type을 NodePort로 변경해야 합니다.아래 명령어로 대시보드 서비스 설정을 수정합니다:kubectl edit svc kubernetes-dashboard -n kubernetes-dashboard Service 파일에서 type을 NodePort로 변경합니다:spec: type: NodePort 2. NodePort 확인변경 후, NodePort를 확인합니다:kubectl get svc -n kubernetes-dashboard 출력 예시:NAME TYPE CLUSTER-IP EXTERNAL-I..
쿠버네티스 대시보드 설치 가이드1. 환경 준비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정상적으로 실행 중이어야 합니다.kubectl 명령어가 작동하는 상태여야 합니다.2. 대시보드 설치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대시보드를 설치합니다: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v2.7.0/aio/deploy/recommended.yaml 3. 대시보드 확인대시보드 설치 후, 아래 명령어로 Pod 상태를 확인합니다:kubectl get pods -n kubernetes-dashboard 모든 Pod의 상태가 Running이어야 합니다.4. 대시보드에 접근아래 명령어로 대시보드 서비스의 NodePort를 확인합니다:kubectl get ..
Kubernetes Dashboard ID/Password Login Guide1. 환경 준비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설정되어 있고 kubernetes-dashboard가 배포되어 있어야 합니다.대시보드에 접근 가능한 상태여야 합니다(NodePort나 Ingress 설정 필요).2. Secret 생성쿠버네티스 대시보드에서 사용할 ID와 비밀번호를 저장할 Secret을 생성합니다: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admin-user \ --from-literal=username=마이아이디 \ --from-literal=password='마이비번' -n kubernetes-dashboard 3. 대시보드 Deployment 수정kubectl edit deployment 명령을 사용하..
🚀 Ubuntu 22.04에서 Kubernetes 설치 및 구성1. 사전 준비시스템 요구 사항:Ubuntu 22.04 (또는 다른 지원되는 버전)최소 2vCPU, 4GB RAM (테스트용)루트 또는 sudo 권한이 있는 사용자2. Kubernetes 설치 단계1️⃣ 필수 패키지 설치sudo apt-ge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gpg2️⃣ GPG 키 저장 디렉터리 생성sudo mkdir -p -m 755 /etc/apt/keyrings3️⃣ Kubernetes GPG 키 등록curl -fsSL https://pkgs.k8s.io/core:/stable:/v1.29/deb/Release.key | sudo gpg --dearmor -o..
가상화 및 GPU 패스스루 용어 정리 1. 기본 가상화 용어 하이퍼바이저 (Hypervisor): 여러 가상 머신(VM)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VM (Virtual Machine): 가상화된 환경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 호스트 (Host): 하이퍼바이저가 설치된 물리적인 서버. 게스트 (Guest): 하이퍼바이저 위에서 실행되는 가상 머신. 2. 네트워크 관련 용어 vNIC (가상 NIC): 가상 머신이 사용하는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브리지 (Bridge): 물리 NIC와 가상 NIC를 연결하는 네..
- Total
- Today
- Yesterday
- 블루버블
- C# 고급 기술
- 디자인패턴
- PowerShell
- 스쿠버다이빙
- 리눅스
- 서귀포
- 다이빙
- 울릉도
- 블루버블다이빙팀
- 서귀포블루버블
- OpenSource
- C#
- CMake
- ReFS
- C
- 제주도
- C++
- DLL
- Linux
- 성산블루버블
- Build
- 현포다이브
- Thread
- 블루버블다이브팀
- 윈도우
- 패턴
- ip
- 암호화
- Window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