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DA ("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쿠다)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에서 수행하는 (병렬 처리) 알고리즘을 C 프로그래밍 언어를 비롯한 산업 표준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GPGPU 기술이다. CUDA는 엔비디아가 개발해오고 있으며 이 아키텍처를 사용하려면 엔비디아 GPU와 특별한 스트림 처리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CUDA는 G8X GPU로 구성된 지포스 8 시리즈급 이상에서 동작한다. 엔비디아는 지포스 8 시리즈 상에 작성된 프로그램은 앞으로 개발될 엔비디아 비디오 카드에서도 별도의 프로그램 수정 없이 작동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CUDA는 CUDA GPU 안의 명령셋과 대용량 병렬 처리 메모리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개발자는 패스스케일..
모형화할 때는 객체 합성을 사용하자 합성(composition)이란, 어떤 타입의 객체들이 그와 다른 타입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 성립하는 그 타입들 사이의 관계를 일컫습니다. 포함된 객체들을 모아서 이들을 포함한 다른 객체를 합성한다는 뜻인데, 다음과 같은 경우입니다. 문제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class Address { …. }; // 누군가의 거주지 class PhoneNumber { …. }; class Person { public: private: std::string mane; // 이 클래스를 이루는 객체 중 하나 Address address; // 마찬가지 PhoneNumber voiceNumber; // 역시 마찬가지 PhoneNumber fa..
상속받은 기본 매개변수 값은 절대로 재 정의하지 말자 C++에서 상속받을 수 있는 함수: 가상, 비가상 함수 상속되는 함수는 동적으로 바인딩 된다., 기본 매개변수는 정적 바인딩된다. 가상 함수는 동적으로 바인딩되지만, 런타임 효율성 때문에 기본 매개변수 값은 정적으로 바인딩된다. 동적 바인딩은 늦은 바인딩(late binding)이라고도 불리는데, 객체가 실행 시 그 순간의 상태에 따라 일어난다.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들은 정수나 문자열 등 형태에 따라 그 변수에 저장되는 값의 저장방법이나 조작방법이 달라진다. 전통적인 컴파일러들이나 어셈블러들은 컴파일 시점에 변수의 형식을 할당하는 정적 바인딩을 제공하였으나, 객체지향 언어들은 실행 시 키보드 또는 기타 다른 소스로부터 값이 변수에 들어오는 그 순간에 변..
상속받은 비 가상 함수는 재정의하면 안 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include class A { public: void f() { std::cout 총평 public 상속은 is-a 관계입니다. 그리고 비가상 함수는 클래스 파생에 관계없는 불변 동작을 정해주는 것입니다. 즉 불변의 동작을 원하여 만든 함수를 파생 클래스에서 다시 정의하면 이것이 목적이 있어 다시 정의하는 것이라면 결국 비 가상 함수를 쓸 이유가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결국. 목적이 있어 다시 정의하는 함수 일 경우에는 가상함수를 쓰는 것 이 좋습니다. 결국에는 비 가상 함수는..
- Total
- 74,025
- Today
- 22
- Yesterday
- 21
- cpu 정보
- 네트워크 이용률
- exe 실행
- 네트워크 어답터
- 네트워크 이름
- 네트워크 카드
- 네트워크 어뎁터
- 네트워크설정
- 코딩 프로그램
- 네트워크 정보
- Project
- 에디트박스
- 숫자만 입력
- C#
- C# 고급 기술
- bit
- 네트워크 속도
- 거리계산
- 네트워크 카드 이름
- GPS거리
- 네크워크 속도 제한
- cpu 이용률
- 네트워크 연결
- 최우림
- C#.NET
- ShellExecute();
- c#텍스트박스
- cpu 점유율
- keypress
- ShellExec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