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C++ 동적 할당 원칙: new vs. malloc - 객체 지향 언어에서 충돌을 피하는 방법

🚨 **핵심 규칙:** STD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거나 C++ Class 객체를 생성할 때는 반드시 malloc이 아닌 new를 사용해야 합니다!

C++ 언어에서 메모리 동적 할당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규칙은 할당하려는 대상이 C++ 객체(클래스/구조체)인지, 단순한 메모리 영역인지에 따라 방법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

1. C++ 객체 (클래스/STD 컨테이너)는 new를 사용해야 합니다!

std::list, std::vector, std::string과 같은 STD 라이브러리 컨테이너와, 사용자 정의 class 또는 멤버 함수를 가진 struct는 복잡한 객체입니다. 이들은 메모리가 할당된 후 생성자가 호출되어야 내부 자원을 초기화하고 유효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구분 new (C++ 연산자) malloc (C 함수)
생성자 호출 ✅ 자동으로 호출됨 ❌ 호출되지 않음
결과 객체를 안전하게 초기화합니다. 메모리 손상 및 충돌을 유발합니다 (내부 포인터가 쓰레기 값).

충돌 예시 (malloc 사용 시)


struct A {
    std::list<int> list; // C++ 객체
};

// ❌ 잘못된 방법: 생성자 호출 없이 메모리만 할당
A* a_bad = (A*)malloc(sizeof(A)); 

// 🚨 치명적! list가 초기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함수 호출 시 충돌 발생
// a_bad->list.clear(); 

// ❌ 메모리 누수! 소멸자가 호출되지 않아 list의 내부 노드가 해제되지 않음
// free(a_bad); 

---

2. 메모리 해제 쌍 규칙: newmalloc은 섞어 쓰면 안 됩니다!

메모리 할당과 해제는 반드시 짝을 이루어 사용해야 합니다. 서로 다른 메커니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섞어 사용하면 정의되지 않은 동작(Undefined Behavior)이나 충돌을 유발합니다.

할당 방법 해제 방법 소멸자 호출 여부
new delete ✅ 호출됨
malloc() free() ❌ 호출 안됨

⚠️ 경고: new로 할당하고 free()를 사용하거나, malloc()으로 할당하고 delete를 사용하는 것은 절대 금지입니다.

728x90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