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EED
한국에서 개발된 대칭 키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특허청과 KISA(한국인터넷진흥원)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SEED는 기존의 DES 및 IDEA와 같은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대칭 알고리즘에 비해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SEED는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채택되었습니다.
SEED 암호화 알고리즘의 특징:
블록 크기와 키 길이:
블록 크기: 128비트 (16바이트)
키 길이: 128비트 (16바이트)
구조:
Feistel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DES와는 달리, SEED는 복잡한 대치-치환 네트워크(Substitution-Permutation Network, SPN) 구조를 사용합니다.
라운드 수: 16라운드
키 스케줄링:
라운드 키 생성에 대한 구조는 DES와 유사하지만, 특정한 확산 함수를 사용하여 키를 스케줄링합니다.
보안 강화:
키 스케줄링, SPN 구조, 다양한 비트 연산 등을 통해 안전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공격에 대비합니다.
알고리즘 간결성과 성능:
알고리즘은 간결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속도가 빠릅니다.
SEED는 국내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와 같은 국가 프로젝트에서 채택되어 안전한 통신 및 데이터 보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SEED는 국내 및 일부 국제 표준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과 같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알고리즘이 전 세계적으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Windows
- 스쿠버다이빙
- 리눅스
- 블루버블다이브팀
- CMake
- 서귀포블루버블
- 스쿠버 다이빙
- 울릉도
- 제주도
- DLL
- 블루버블
- PowerShell
- 윈도우
- Thread
- 패턴
- 서귀포
- C#.NET
- C#
- Linux
- C# 고급 기술
- Build
- 현포다이브
- C++
- OpenSource
- 성산블루버블
- ip
- C
- 암호화
- 블루버블다이빙팀
- 외돌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